제목
<h1>
, <h2>
, <h3>
, <h4>
, <h5>
, <h6>
태그로 변환되는 ‘제목(Header)’을 표현합니다.
# 제목 1
## 제목 2
### 제목 3
#### 제목 4
##### 제목 5
###### 제목 6
<h1>
, <h2>
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.
제목 1
======
제목 2
------
강조
각각 <em>
(기울임), <strong>
(두꺼움), <del>
(취소선) 태그로 변환되는 ‘강조(Emphasis)’를 표현합니다.
마크다운에서 지원하지 않는 밑줄을 추가하려면, <u></u>
(밑줄) 태그를 직접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이텔릭체는 *별 기호(Asterisks)* 혹은 _언더바 기호(Underscore)_ 를 사용하세요.
두껍게는 **별 기호(asterisks)** 혹은 __언더바 기호(underscore)__ 를 2번씩 사용하세요.
__*이텔릭체*와 두껍게__ 를 혼용할 수도 있습니다.
취소선은 ~~물결 기호(tilde)~~ 를 사용하세요.
<u>밑줄</u>은 마크다운에서 지원하지 않기에, 직접 `<u></u>` 태그를 사용하세요.
출력 결과:
이텔릭체는 별 기호(Asterisks) 혹은 언더바 기호(Underscore) 를 사용하세요.
두껍게는 별 기호(asterisks) 혹은 언더바 기호(underscore) 를 2번씩 사용하세요.
_이텔릭체_와 두껍게 를 혼용할 수도 있습니다.
취소선은 물결 기호(tilde) 를 사용하세요.
밑줄은 마크다운에서 지원하지 않기에, 직접 <u></u>
태그를 사용하세요.
목록
<ol>
, <ul>
, <li>
태그로 변환되는 ‘목록(List)’을 표현합니다.
1.
로 시작하는 항목을 작성하면 <ol>
로 변환되며, -
로 시작하는 항목을 작성하면 <ul>
로 변환됩니다.
들여쓰기를 통해 하위 목록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.
`-`로 시작하는 순서가 없는 목록으로 구분합니다.
1. 순서가 있는 항목
1. 순서가 있는 항목
1. 순서가 없는 항목
2. 순서가 없는 항목
2. 순서가 있는 항목
3. 순서가 있는 항목
- 순서가 없는 항목
- 순서가 없는 항목
- 순서가 없는 항목
- 순서가 없는 항목
출력 결과:
- 순서가 있는 항목
- 순서가 있는 항목
- 순서가 없는 항목
- 순서가 없는 항목
- 순서가 있는 항목
- 순서가 있는 항목
- 순서가 없는 항목
- 순서가 없는 항목
- 순서가 없는 항목
- 순서가 없는 항목
링크
<a>
로 변환되는 ‘링크(Links)’를 표현합니다.
[이름](링크)
[이름](링크 "설명")
[이름][참조]
[참조]: 링크
[참조]: 링크 "설명"
[GOOGLE](https://google.com)
[NAVER](https://naver.com "링크 설명(title)을 작성하세요.")
[상대적 참조](../users/login)
[Dribbble][Dribbble Link]
[GitHub][1]
문서 안에서 [참조 링크]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. 다음과 같이 문서 내 일반 URL이나 꺾쇠 괄호(`< >`, Angle Brackets)안의 URL은 자동으로 링크를 사용합니다.
구글 홈페이지: https://google.com
네이버 홈페이지: <https://naver.com>
[Dribbble Link]: https://dribbble.com
[1]: https://github.com
[참조 링크]: https://naver.com "네이버로 이동합니다!"
출력 결과:
GOOGLE
NAVER
상대적 참조
Dribbble
GitHub
문서 안에서 참조 링크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.
다음과 같이 문서 내 일반 URL이나 꺾쇠 괄호(< >
, Angle Brackets)안의 URL은 자동으로 링크를 사용합니다.
구글 홈페이지: https://google.com
네이버 홈페이지: https://naver.com
문서 내부 이동
[Text](#이동할-위치)
이미지
<img>
로 변환되는 ‘이미지(Images)’를 표현합니다.
링크과 비슷하지만, 앞에 !
를 추가해야 합니다.


![대체텍스트][참조]
[참조]: 이미지주소
[참조]: 이미지주소 "설명"
[](https://heropy.dev/)
코드 강조
<pre>
, <code>
태그로 변환되는 ‘코드(Code)’를 표현합니다.
`
(백틱) 기호를 사용합니다.
인라인
`background` 혹은 `background-image` 속성으로 요소에 배경 이미지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.
출력 결과:
background
혹은 background-image
속성으로 요소에 배경 이미지를 삽입할 수 있습니다.
블록
`
를 3번 이상 입력하고 언어(코드) 이름을 명시해, 코드 ‘블록(Block)’를 표현합니다.
코드 블록의 시작 `
개수와 종료 `
개수는 같아야 합니다.
// 연속 백틱 3개 시작, 종료 구조
```언어이름
내용
\```
// 연속 백틱 4개 시작, 종료 구조
````언어이름
내용
\````
백틱 기호 사용
마크다운에서 백틱(`
) 기호는 코드 강조를 표현할 때 사용하는 문법 기능을 가지므로, 백틱 기호 자체를 출력하려면 기호에 이스케이프(Escape) 처리가 필요합니다.
다음과 같이 \
기호와 함께 작성하면, 백틱 기호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.
또는 `
에서 인라인 코드 강조를 하기 위해, <code>
태그를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.
\`
<code>\`</code>
출력 결과:
`
`
표
<table>
태그로 변환되는 ‘표(Table)’를 표현합니다.
테이블 헤더를 구분하기 위해, 3개 이상의 -
(hyphen/dash) 기호를 사용합니다.
테이블 헤더를 구분하며 :
(Colons) 기호를 추가해 셀(열/칸) 안에 내용을 정렬할 수 있습니다.
-
---
,:---
: 좌측 정렬 -
:---:
: 가운데 정렬 -
---:
: 우측 정렬
가장 좌측과 가장 우측에 있는 |
(vertical bar) 기호는 생략 가능합니다. (플랫폼에 따라 생략 불가한 경우도 있습니다)
| 헤더 | 헤더 | 헤더 |
|---|---|---|
| 셀 | 셀 | 셀 |
| 셀 | 셀 | 셀 |
헤더 | 헤더 | 헤더
---|---|---
셀 | 셀 | 셀
셀 | 셀 | 셀
| 값 | 의미 | 기본값 |
|---|:---:|---:|
| `static` | 유형(기준) 없음 / 배치 불가능 | `static` |
| `relative` | 요소 자신을 기준으로 배치 | |
| `absolute` | 위치 상 부모(조상)요소를 기준으로 배치 | |
| `fixed` | 브라우저 창을 기준으로 배치 | |
| `sticky` | 스크롤 영역 기준으로 배치 |
출력 결과:
값 | 의미 | 기본값 |
---|---|---|
static |
유형(기준) 없음 / 배치 불가능 | static |
relative |
요소 자신을 기준으로 배치 | |
absolute |
위치 상 부모(조상)요소를 기준으로 배치 | |
fixed |
브라우저 창을 기준으로 배치 | |
sticky |
스크롤 영역 기준으로 배치 |
인용문
<blockquote>
태그로 변환되는 ‘인용문(BlockQuote)’을 표현합니다.
> 인용문 - 남의 말이나 글에서 직접 또는 간접으로 따온 문장.
> _(네이버 국어 사전)_
BREAK!
> 인용문을 작성하세요!
>> 중첩된 인용문(nested blockquote)을 만들 수 있습니다.
>>> 중중첩 인용문 1
>>> 중중첩 인용문 2
>>> 중중첩 인용문 3
출력 결과:
인용문 - 남의 말이나 글에서 직접 또는 간접으로 따온 문장.
(네이버 국어 사전)
BREAK!
인용문을 작성하세요!
중첩된 인용문(nested blockquote)을 만들 수 있습니다.
중중첩 인용문 1
중중첩 인용문 2
중중첩 인용문 3
원시 HTML
마크다운 문법 대신, HTML을 직접 사용(Raw HTML)할 수 있습니다.
앞서 살펴본 밑줄 추가와 같이, 마크다운 문법에서 지원하지 않는 기능을 사용할 때 유용합니다.
마크다운에서 <u>밑줄</u>은 지원하지 않습니다.
<img width="150" src="http://gstatic.com/webp/gallery/4.jpg" alt="Prunus" title="마크다운은 이미지의 크기를 지정할 수 없으므로, 크기 지정을 위해서는 <img> 태그를 사용해야 합니다.">

마크다운에서 밑줄은 지원하지 않습니다.
수평선
---
, ___
, ***
각 기호를 3개 이상 입력해, <hr>
태그로 변환되는 ‘수평선(Horizontal Rule)’을 표현합니다.
---
***
___
출력 결과:
줄바꿈
줄바꿈(Line Breaks)을 위해서는 문장 마지막에서 <br>
태그를 직접 입력하거나, 문장 마지막에서 띄어쓰기를 2번 이상 입력합니다.
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
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
무궁화 삼천리 화려 강산 <!--띄어쓰기 2번-->
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<br>
끝!
출력 결과:
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무궁화 삼천리 화려 강산
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
끝!
주석
<!-- -->
, [//]: #
기호를 사용해, 주석(Comment)을 표현합니다.
-- 시작 --
<!-- 안녕하세요. -->
[//]: # (안녕하세요.)
[//]: # "안녕하세요."
[//]: # '안녕하세요.'
-- 종료 --
출력 결과:
– 시작 – [//]: # (안녕하세요.) [//]: # “안녕하세요.” [//]: # ‘안녕하세요.’ – 종료 –
콜아웃
>[!CallOut]
>TEST
[!CallOut] TEST
Mermaid
1. Pie chart
'''mermaid!
pie title Pets adopted by volunteers
"Dogs" : 386
"Cats" : 85
"Rats" : 35
'''
2. sequence diagram
'''mermaid!
graph TD
A[Christmas] -->|Get money| B(Go shopping)
B --> C{Let me think}
C -->|One| D[Laptop]
C -->|Two| E[iPhone]
C -->|Three| F[fa:fa-car Car]
'''
3. Class diagram
'''mermaid!
classDiagram
Animal <|-- Duck
Animal <|-- Fish
Animal <|-- Zebra
Animal : +int age
Animal : +String gender
Animal: +isMammal()
Animal: +mate()
class Duck{
+String beakColor
+swim()
+quack()
}
class Fish{
-int sizeInFeet
-canEat()
}
class Zebra{
+bool is_wild
+run()
}
'''
4. State diagram
'''mermaid!
stateDiagram
[*] --> Still
Still --> [*]
Still --> Moving
Moving --> Still
Moving --> Crash
Crash --> [*]
'''